목록2024/06 (45)
경불진 이피디의 경제공부방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Fh2V/btsHWbZHQIt/ui7WHUJQ1kp2jJlvsvbQbk/img.png)
어제 암울한 경제지표가 나왔죠. 국제 교역의 최종 성적표인 경상수지가 1년 만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2억 9천만 달러 마이너스. 지난해 5월부터 이어진 경상수지 흑자 행진이 멈춰섰는데요. 상품수지 흑자가 직전 달인 3월보다 무려 30억 달러 가까이 줄어든데다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배당금 지급이 집중되면서 배당소득수지에서 35억 달러 넘는 적자를 냈기 때문이라고 한은은 설명합니다. 따라서 이번 경상수지 적자가 일시적인 것이고 상반기 경상수지 흑자 전망치인 279억 달러는 무난하게 달성할 것이란 거죠. 하지만 우려스러운 지표가 연달아 발표됐는데요.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10일까지 무역수지는 8억2900만달러 적자. 지난달 같은 기간엔 5억4천200만달러 적자보다 적자폭이 늘었습니다. 게다가 작..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GVFEm/btsHUn0SAiE/6ymQJaM0pas3pqizu1GoG1/img.png)
20년만 버티면 2배이런 투자 상품이 있다면 투자하실 건가요? 바로 개인투자용 국채 이야기인데요. 국채는 예금자보호 대상은 아니지만, 나라가 파산하지 않는 한 원리금 떼일 위험은 사실상 없잖아요. 그래서 안전한 투자처로 여겨졌는데요. 하지만 기관들의 전유물처럼 돼 있었죠. 지난해 말 기준 국채 보유비중을 보면 개인은 1.5%에 불과합니다. 기관이 78%, 외국인이 20%가량을 보유하고 있는데요. 이유가 있습니다. 국채는 일반적으로 최소 입찰 금액이 100억이나 됐으니까요. 이런 큰 돈을 투자할만한 개인은 거의 없잖아요. 그래서 국채는 개인과는 거의 상관없는 것처럼 여겨졌는데요. 하지만 이젠 아니라고 합니다. 오는 20일부터 개인도 투자할 수 있는 국채, 즉 개인투자용 국채가 발행되거든요. 그래서 ..
Q. 요즘 우리나라 수출을 주도하는 품목이 반도체가 자동차라고 하죠. 물론 절대량에서는 뒤지지만 자동차 수출 성장세가 더 빠르기 때문인데요. 그런데 우리나라 자동차를 가장 많이 사주는 나라는 어디 일까요? A. 지난 5월 수출이 작년보다 11.7% 증가하면서 8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흐름이 이어졌죠.반도체 수출은 110억달러 이상의 높은 수준을 유지했고 자동차 수출도 작년보다 4.8% 증가한 64억9천만달러를 기록하면서 역대 5월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고 합니다. 그럼 우리나라가 자동차를 가장 많이 파는 나라는 어디일까요? 산업연구원의 ‘자동차산업 수출 경쟁력 추이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승용자동차를 가장 많이 수출한 나라는 미국입니다. 미국은 지난해 우리나라 자동차를 전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mZm2/btsHUFAcTr6/KWzia1kckZLMejl5Kt5jX0/img.png)
RE100 때문에 우리 수출길이 막힌다.이런 경고를 여러차례 했었는데요. 정말 현실이 될 우려가 커졌습니다.어제 MBC보도를 보면 RE100 캠페인의 책임자인 헬렌 클락슨은 "매우 실망스럽다"며 "한국은 세계 시장을 잃을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현재 국내에서 RE100 캠페인에 가입한 기업은 36개입니다. 한국 회원사들은 세계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합니다.한국에서 회원사들은 전력의 약 9%만을 재생에너지로 공급받고 있는데, 이는 전 세계 회원사 평균인 50%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는 거죠. 지난달 말 정부는, 15년치 신재생에너지 확충 계획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2030년 공급 목표는 21.6%였습니다. 이는 영국 85, 독일 75, 미국 59, 일본 38% 보다 훨씬 낮은 수치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3wuA/btsHVsNJAda/b4V9jKAqmd08OUja8Jx2HK/img.png)
그동안 정부와 금융당국은 갈수록 늘어나는 부채에도 충분히 통제 가능하다고 자신해 왔었죠. 그런데 최근들어 말이 바뀌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이 태스크포스(TF)를 열고 대책을 논의중이라고 합니다. 물론 안하는 것보다는 지금이라도 하는 것이 낫겠지만 너무 늦은 것은 아닐까요? 왜냐면 어제도 말씀들렸지만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0.54%로 지난해 말(0.48%)보다 0.06%포인트 올랐습니다. 최저치인 2021년 말(0.16%)과 비교하면 3배 이상으로 치솟은 수치이자 2012년 4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사회적 거리 두기가 종료됐으나 고물가·고금리 기조가 장기화함에 따라 서민들은 있는 돈을 갚기도, 새로 돈을 구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라는 거죠. 특..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xC18/btsHSByinFh/KkwJivu0lvReKsWSaG3ExK/img.jpg)
‘주가는 알고 있다’고들 하죠. 윤석열 대통령이 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수 있다고 발표한 이후 석유·가스 관련 종목들이 산유국 테마주를 형성했습니다. 이에 단기 차익을 노리는 투자자들의 단타 매매가 급증했는데요.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국내 증시에서 지난 일주일(6월 3~7일)간 회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종목은 한국ANKOR유전(742.17%)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기간 전체 상장 종목의 평균 회전율이 5.8%에 그쳤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ANKOR유전의 회전율은 120배가 넘는 수치를 기록한 셈입니다. 이와 함께 회전율 상위 10개 종목엔 △화성밸브(628.16%) △흥구석유(521.01%) △한국석유(419.78%) △하이스틸(363.66%) △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deo7/btsHU6iwUqB/252WAqrI9UtkQmzffRkJX0/img.jpg)
정부와 대통령의 국정 브리핑에서 나온 동해 영일만 앞바다 석유 가스 매장 관련 이야기가 연일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지금은 해저에 석유 가스가 매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는 수준으로, 정부는 성공률이 20%라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시추공 하나당 1000억 원의 비용이 들어가는 시추를 최소 5번 이상 해야 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여기서 왜 시추가 5번 이상인가 했더니, 성공 확률이 20%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즉, 확률이 20% 이니까, 이걸 5번 하면 100%가 된다는 계산입니다. 황당하게 이걸 액트지오 대표도 이야기하더라고요. 과연 이게 맞을까요? 각 사건이 발생하지 않을 확률은 1- 0.2= 0.8입니다. 이 사건이 5번 모두 발생하지 않을 확률은 0.8^5입니다. 따라서 5번 시도해서 한 번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iRci/btsHUwoEben/8InMbsH9rJW1vdnVTNj2hK/img.jpg)
Q. 우리나라 1인당 국민소득(GNI)이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일본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유가 기준연도를 바꿨기 때문이라는데요. 왜 이것 바꿨다고 순위가 바뀔까요? A. 우리나라 1인당 국민소득(GNI)이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일본을 앞섰다고 하죠. 한국은행이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1인당 GNI는 3만6194달러. 2022년 3만5229달러에서 2.7% 증가했습니다. 반면 한은이 일본 내각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일본의 작년 1인당 GNI는 3만5793달러. 한국보다 401달러 적습니다. 일본의 1인당 GNI는 2022년까지만 해도 3만6337달러로 한국보다 앞섰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우리나라가 역전한 것입니다. 그런데 뭔가 좀 찜찜하죠. 우리 경제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