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4/06/03 (4)
경불진 이피디의 경제공부방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37cmA/btsHLYsKk4k/FnlK9tsCLKzNcom7HEe6q0/img.jpg)
사라예보 사건, 독일의 폴란드 침공, 통킹만 사건···.제 1, 2차 세계대전과 베트남 전쟁을 촉발 시킨 사건으로 알려져 있죠. 그런데 이런 사건이 벌어질 당시 전세계인들은 끔찍한 전쟁이 수년씩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했었을까요? 그냥 단순한 해프닝으로 끝나지 않을까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더 많았을 것입니다. 설마 수백, 수천만명이 죽는 전쟁으로 이어지지는 않겠지라고 여기면서요. 갑자기 왜 전쟁이야기를 할까요? 나중 역사가 현재 상황을 환율전쟁으로 기록할지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중국, 유럽, 일본 등이 각자의 환율을 지키기 위해 합종연횡하는 모습이 보이고 있는데요. 철저히 자국의 이익을 위해 어제의 동지도 오늘의 적으로 바뀌는 모습까지 비쳐집니다. 그런데 안타까운 것은 이런 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wpgpe/btsHL5ypZxk/8248AW31FGZhbO7ag2MqI1/img.png)
Q. 곧 여름 휴가철이 다가오죠. 그래서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분들이 많으실 것 같은데요. 그런데 혹시 계획하신 여행지가 얼마나 안전한지는 알아보셨나요? 전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여행지는 어디일까요? A. 멋진 풍경에 이국적인 먹거리와 볼거리. 해외여행은 생각만 해도 가슴이 설레는데요. 그런데 안전하지 않다면 여행을 망칠 수도 있겠죠. 그럼 가장 안전한 해외여행지와 가장 위험한 해외여행지는 어디일까요? 세계적인 보안업체 에이디티(ADT)는 2017~2019년 여행자들이 가장 많이 방문한 국가를 기준으로 조사를 진행해 2023년 7월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여행지'와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여행지'의 순위를 공개했습니다. 조사 대상 국가는 영국 통계청(ONS)의 2017~2019년 휴가객 방문수 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3ucb/btsHMPBN1Po/KrsqnJbIFEORJwpCYiw4r1/img.png)
의지가 없는 걸까요? 나라에 돈이 없는 걸까요? 10년 넘은 노후 차를 새로운 차로 바꿀 때 개별소비세를 70% 깎아준다, 지난 1월, 정부가 내놓은 민생 경제 대책의 하나입니다. 여기에 신용카드를 많이 쓰면 소득공제율을 높여주겠다고 했습니다. 고물가 상황에서 취약 계층의 소비를 돕겠다는 취지입니다. 또 '만능통장'이라 불리는 ISA, 개인종합 자산관리 계좌의 비과세 한도도 대폭 확대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서민들의 자산 형성을 돕겠다는 겁니다. 하지만 모두 없던 일이 됐습니다. 이들 대책은 '조세특례제한법'을 개정해야 시행이 가능한데, 지난 21대 국회가 마무리되면서 폐기됐기 때문입니다. R&D 세액 공제를 확대하고, 인구 감소지역에서 집을 추가로 더 사더라도 1주택으로 인정해 주는 방안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JCQzR/btsHNvCRdPL/YR21o9fKURlSBSL8EdaHXK/img.png)
전쟁중인 우크라이나 보다 낮은 우리나라의 초저출산율. 14세기 흑사병 수준이라고 하죠. 이를 타계하기 위해서는 그야말로 획기적인 대책이 필요한데요. 그래도 이건 좀 아니지 않나요?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대책이라면서 국책연구기관에서 여자아이를 1년 조기 입학시키자고 합니다. 남녀의 교제 성공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한데 남성의 발달 정도가 여성의 발달 정도보다 느리다는 점을 고려하자는 거죠. 그래야 향후 결혼 적령기 때 남녀가 서로 매력을 더 느낄 수 있다는 겁니다. 기가 막히죠. 그런데 왜 이런 대책을 내놨을까? 뭔가 의심가는 곳이 있습니다. 현정부가 들어서자마자 욕을 바가지로 들은 것이 있거든요. 정권 허니문 기간이라 웬만하면 정부의 손을 들어줄테지만 너무 어의 없는 정책이어서 여론의 질타가 심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