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불진 이피디의 경제공부방

칼퇴근법은 헨리포드가 만들었다? 본문

경제 뒷이야기

칼퇴근법은 헨리포드가 만들었다?

경불진 이피디 2019. 6. 23. 17:28
반응형

 

혹시 칼퇴근 하고 계시나요?”

아마 라고 답변하는 분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 실제로 2015년 국감에서 국내 30대 기업에 다니는 직장인들의 하루 평균 노동시간이 공개됐는데 무려 10시간18분이라고 합니다. 특히 업무가 많아 연장근무(야근)가 필수라는 응답이 52.3%로 나타났으며 업무와 상관없이 눈치가 보여 야근한다는 응답비율도 12.6%에 달했습니다. 칼퇴근은 딴나라 이야기란 말이죠.

 

혹시 칼퇴근이 실제 법으로 만들어져 적용되면 가뜩이나 좋지 않은 경제가 더 나빠지는 것은 아닌지 우려하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이럴 때일수록 더 열심히 일해야 하는데 퇴근을 빨리 하자는 게 말이 되느냐 지적하는 분들도 있을테고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한국에서 1시간을 일하고 버는 돈은 독일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고 발표했습니다. 한국의 구매력평가(PPP) 기준 시간당 평균 소득이 14.6달러인데 반해 독일은 31.2달러이고 룩셈부르크는 35.7달러에 달했습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근로자들이 노동시간은 긴데 생산성은 낮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물론 OECD 자료에는 생산성 이야기가 한마디도 나오지 않지만 전문가들은 이렇게 유추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노동자들의 능력이 독일, 룩셈부르크의 절반에도 못미친다는 이야기죠. 한마디로 생산성이 떨어지니 월급을 조금 받는 것은 당연하다는 논리입니다.

 

자동차 왕으로 불리는 헨리 포드는 경영천재로도 불립니다. 세계 최초로 자동차를 양산해 오늘날의 미국을 있게 만들 주인공 중의 한사람으로 꼽히기도 합니다. 그런데 헨리 포드가 어떻게 자동차왕 됐을까요.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벨트 시스템을 도입해 생산성 강화와 비용 절감을 극대화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근로자들이 한시도 한눈팔지 못하게 끊임없이 노동을 하게 만들었다는 비난도 받기도 하죠. 그런데 헨리 포드가 정작 경영천재로 불리는 이유는 다른 곳에 있습니다. 노동자들이 쥐어짠 것이 아니라 근로시간과 임금 개혁을 주도했습니다.

1914년 초 헨리 포드는 노동자 임금을 하루 2.34 달러에서 5달러로 2배 이상 올렸습니다. 그러면서도 근로 시간은 19시간에서 8시간으로 줄였습니다. 당시 미국 산업계는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회사가 큰 손해를 입고 결국 망할 것이라는 루머도 퍼졌죠.

 

그런데 놀라운 반전이 일어났습니다. 회사는 큰 이득을 보았던 것이죠. 어떤 이유에서 일까요. 근로시간이 줄고 임금이 올라간 근로자들이 포드 공장에서 일한다는 것을 자랑스러워하기 시작했습니다. 공장 조립라인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의 생산성과 회사에 대한 충성심이 높아졌던 것이죠. 특히 큰 골칫거리이던 이직률과 근로자 교육비용도 크게 낮아졌습니다.

이렇게 되자 1926년 헨리 포드는 한 걸음을 크게 더 내딛습니다. 6, 48시간 근무제를 폐지하고 주 5, 40시간 근무제를 전면 도입했습니다. 놀라운 점은 헨리 포드는 임금은 그대로 유지했습니다. 근로자들은 하루를 덜 일하고도 이전과 똑 같은 임금을 받았던 것이죠.

 

헨리 포드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근로시간을 줄였더니 생산성이 높아지고 경영이 효율화돼 생산량을 늘릴 수 있다”며 “근로시간 축소가 경제 전체에 이롭다고 생각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어 “공장 근로자들이 하루 10시간 일하는 과거로 돌아간다면 이 나라 산업계는 지속 가능할 수가 없다”며 “사람들이 제품을 소비할 시간이 없어진다”고 지적했습니다.

근로시간을 줄이면 근로자의 여가 시간이 늘어나고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해 기업에 오히려 득이 된다는 설명입니다.

 

포드의 사례를 살펴보면 생산성 저하의 책임은 누구한테 있는 것일까요. 노동자보다는 기업이 어떤 제도와 시스템을 도입하느냐에 따라 생산성이 달라지는데 생산성이 떨어진다고 독일 노동자보다 월급을 절반만 받는 것이 당연하다는 논리는 문제가 있지 않을까요.

더 나아가 생산성 저하의 책임이 기업에 있다면 칼퇴근 법은 오히려 재계에서 발의해야 하지 않을까요.

한국의 경영자들, 전문가들은 거의 1세기 전에 헨리 포드가 깨닫고 실천한 것을 왜 아직도 모르는 것일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