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불진 이피디의 경제공부방

빚잔치 벌이는 국내금융사에서 로마 말기 귀족이 연상되는 이유는? 본문

경제 뒷이야기

빚잔치 벌이는 국내금융사에서 로마 말기 귀족이 연상되는 이유는?

경불진 이피디 2022. 2. 18. 06:18
반응형

먹고 토하는 로마 귀족

 

코로나 이후 서민들의 삶은 점점 팍팍해지고 있죠.

특히 방역조치로 장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이 이만저만이 아닐텐데요.

빚으로 버티고 있지만 문제는 빚을 갚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늘어만가고 있습니다. 한달 두달을 넘어 석달이상 연체되는 경우도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데요.

 

이처럼 석 달 이상 연체된 경우 원금과 이자를 깎아주는 개인별 채무조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용회복위원회 등에 신청하면 부동산 같은 담보가 있지 않은 이상 일반적으로 채무 상환은 8년까지 연장이 가능합니다. 빚을 갚는 기간을 늘려주는 것 외에도 이자만이라도 갚게 하는 방식이 있는데요. 만약 그것도 힘들다고 하면 기초생활수급자나 사회 취약계층의 경우 이처럼 원금까지 감면해줍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 금액이 지난해 역대 최대인 34784억 원을 기록했다는 점입니다. 1년 전보다는 약 15% 늘어났고 5년 전과 비교했을 때 2배 이상 많아졌는데요. 1인당 평균 채무조정액도 4000만 원을 넘겼습니다.

 

채무조정 대상자도 매년 꾸준히 늘고 있는데 지난해는 무려 86225명으로 역대 두 번째로 많았습니다.

 

문제는 올해는 채무조정이 더욱 늘어날 것이 뻔하다는 점이죠. 특히 개인사업자 중심으로 다중채무자가 두 배 넘게 늘었났잖아요. 다중채무자 무려 27만 명. 대출 잔액이 157조 원을 넘습니다. 1인당 평균 57600만 원가량 빚을 갖고 있는데요. 이런 상황인데도 곳간 타령만 하는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너무나 야속한데요. 여야가 합의한 추경 증액마저 받아들일 수 없다고 하니 정말 기가 막힙니다.

 

그런데 더 기가 막히는 곳이 있습니다. 갈수록 팍팍해진 생활에, 월급은 오르지 않고, 금리도 바닥이고, 그래서 많은 직장인들이 주식투자에 나섰을 것입니다. 동학개미운동 등으로 우리 경제와 기업도 응원하고 쏠쏠하게 수익도 올리자는 목적이었는데요. 문제는 동학개미들의 이런 열정에 찬물이 끼얹는 재벌들의 물적분할, 국민연금의 황당한 투자 등이 이어졌잖아요. 그래서 수익보다 손해를 본 개미들이 훨씬 많고요. 이에 분노하는 개미들도 많으실 텐데요.

 

그런데 이런 혼란 속에서 웃고 있는 곳이 있다고 합니다. 바로 증권사들이죠.

국내 증권사들이 얼마나 실적을 올렸을까요? 영업이익이 얼마나 될까요?

 

소위 1조클럽이란 것이 있죠. 보통 1조 클럽하면 매출을 따지죠. 그런데 영업이익으로 1조 클럽에 가입한 국내 증권사가 있다고 합니다. 그것도 무려 5곳이나. 개미들이 피눈물 흘리고 있는데 증권사들은 돈잔치를 벌였다는 거죠.

 

미래에셋증권이 국내 증권사 중 처음으로 2년 연속 영업이익 1조 원을 돌파했고, NH와 삼성도 영업이익이 각각 60%, 90% 넘게 급증해 1조 클럽에 새로 들어갔습니다. 더불어 조만간 실적발표를 앞둔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도 1조 달성이 무난하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증권사들이 이렇게 어마어마한 수식을 올린 것은 지난해에도 이어진 개인투자자 주식 투자 열풍으로 위탁매매 수익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개미들의 돈을 맡아 굴린 후 지들 배만 채웠다는 거죠.

 

증권사만 이런 짓거리를 했을까요?

코로나 이후 사용이 늘어난 것 중 하나가 바로 카드죠. 비대면 거래는 거의 100% 카드 결제로 이뤄지잖아요.

이 덕분에 신한카드는 지난해 매출 4912억원, 영업이익 8222억원, 순이익 6066억원을 달성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5.11%, 영업이익은 20.19%, 순이익은 19.16% 늘어난 수치입니다. 삼성카드는 2021년 매출 삼성카드는 35881억원, 영업이익 7493억원을 달성했습니다. 매출은 전년보다 6.6%, 영업이익은 40.2% 증가세를 보였고 순이익은 5511억원으로 38.2% 늘었습니다.

이처럼 전업카드사 8곳의 지난해 순이익을 합치면 역대 최대인 3조 원에 달할 것이란 추산이 나오고 있습니다. 영업이익은 그보다 더 많고요. 역대급 실적을 올렸다는 거죠.

 

그런데 올해 들어서자마자 카드사들은 각종 혜택을 앞세워 판매하던 카드 발급을 중단하거나 부가 혜택을 바꾸고 있습니다.

먼저 신한카드는 다음 달 1일부터 구독료를 내면 커피와 빵 등 디저트 이용권과 마트와 편의점 이용권을 주는 '디저트 픽'의 월 구독료를 5,200원에서 5,500원으로 올립니다.

 

커피가격이 인상됐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신한은 올해부터 카드 5종의 신규 발급을 중단하기도 했습니다.

KB국민카드도 오는 28일부터 인터넷 쇼핑몰과 소셜커머스 결제 때 할인 혜택을 주는 '청춘대로 꿀쇼핑e카드'의 신규 발급을 중단합니다.

 

우리카드는 다음 달부터 코리아세븐의 현금자동입출금기 이용 수수료를 800~900원에서 1,000원으로 올리고, 삼성카드도 다음 달 말부터 신세계 제휴 카드의 알라딘 서점 할인 혜택을 종료합니다.

 

이유가 뭘까요?

카드사들은 올해 경영 실적악화에 대비한 조치라고 설명합니다. 지난달 31일부터 영세·중소 카드 가맹점의 우대수수료율이 0.51.5% 낮아졌기 때문에 수수료 수익이 줄 수 있다는 거죠. 여기에 주 수익원 중 하나인 카드론이 올해부터 가계부채 관리 강화 조치를 통해 차주단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에 반영되면서 위축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3조원이 넘는 돈잔치를 벌인 카드사들이 앞으로 실적 나빠질 것이라고 엄살을 부리는 것은 문제가 심각하지 않나요?

 

증권사 카드사들중 일부가 소속된 금융지주들이 지난해 실적을 속속 발표하고 있는데요.

 

우선 가장 먼저 발표한 KB금융그룹은 지난해 순이익 44,09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6%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사상 첫 연간 순이익 4조 원 클럽에 진입한 것인데요.

핵심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이익은 112,296억 원으로 전년대비 15.5% 증가했습니다.

주력인 KB국민은행의 순이익이 25,908억 원으로 계열사 가운데 가장 많은 수익을 냈고요.

이어 KB증권 약 6천억 원, KB국민카드가 약 4천억 원입니다. 지난 2020년에 인수한 푸르덴셜 생명과 KB손보도 3천억 원대 순이익을 거뒀습니다.

 

신한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도 역대급 실적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에프앤가이드 따르면 4대 금융그룹의 지난해 순이익은 144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런 호실적의 배경은 뭘까요? 지난해 가계 대출 등이 증가하는 가운데, 금융당국의 대출규제와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가 올라가면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된 덕분이라고 합니다. 여기에다 2020년 코로나19 손실을 대비해 쌓았던 대손충당금도 지난해 줄였고, 증시 호황에 따라 비은행 부문 실적도 좋았습니다.

 

역시나 개미들과 서민들의 피눈물이야기는 하지 않는군요.

 

문제는 KB금융지주는 전년대비 약 66% 증가한 주당 2,940원의 배당과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1,5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결정했습니다.

금융지주들은 또 직원들에게 기본급 300% 수준의 성과급도 지급할 예정입니다. 서민과 소비자들을 위해 빚을 깎아준다거나 혜택을 늘린다는 이야기는 거의 없습니다.

 

앞서 살펴본대로 서민들은 코로나 이후 빚부담이 갈수록 늘고 있고 다중채무자의 경우 1인당 평균 57600만 원가량이나 빚을 져야하는 처지인데 금융사들은 빚잔치를 하는 모습. 이걸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고대 로마 말기 서민들은 고통받거나 말거나 귀족들은 파티에는 더 많이 먹기 위해서 토하는 그릇을 따로 마련했다는 파렴치한 모습이 연상되는 것은 왜일까요?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