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불진 이피디의 경제공부방
재계 5위 싸움이 치열한 이유는? 본문
Q. 최근 국내 재계에 빅딜 소식이 자주 들여오는데요. SK에 이어 한화 롯데도 대규모 빅딜을 추진한다고 하죠. 그럼 재계 순위에도 변화가 있을까요?
A. 국내 대기업집단(재계)의 순위가 1년 만에 또 다시 바뀔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합니다. 중상위 그룹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빅딜’에 나섰기 때문인데요. 특히 5위 자리를 두고 롯데, 포스코, 한화의 자릿 싸움이 치열하게 전개될 예정이라고 하는군요.
자산총액 기준 국내 재계 순위는 한동안 변화가 크지 않았습니다. 특히 상위 5개 기업 순위는 철옹성처럼 보였죠. 삼성-현대차-SK-LG-롯데의 순위가 거의 12년 동안 변화가 없었거든요. 하지만 올해 들어 SK가 현대차를 제치고 2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죠.
SK는 반도체 매출 증가와 인텔 낸드사업부 인수로 SK하이닉스의 자산이 20조9000억원 늘어나는 등 2021년 239조5000억원이던 자산총액이 2022년 292조원으로 크게 증가한 덕분입니다. 현대차도 246조1000억원에서 257조8000억원이 늘어났지만, 반도체 슈퍼사이클에 올라탄 SK의 성장세에 순위에서 밀리는 수모를 겪었죠.
그래서 올해 상위 10위 순서는 ▲삼성 ▲SK ▲현대차 ▲LG ▲롯데 ▲포스코 ▲한화 ▲GS ▲현대중공업 ▲농협 순입니다.
그런데 내년 들어 또 순위가 바뀔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현재 5~7위 기업이 신성장동력 마련과 지속성장을 위해 대규모 인수합병(M&A)을 진행하며 몸집을 불리고 있기 때문인데요. 롯데는 일진머티리얼즈, 포스코는 HMM(옛 현대상선), 한화는 대우조선해양 인수 작업을 각각 진행 중입니다.
그러면 롯데가 5위 자리를 지키지 못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데요. ‘순위야 바뀔 수도 있지’라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재계 순위 5위는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https://www.podbbang.com/channels/9344/episodes/24508481?ucode=L-cYlmqQUB
[꼬꼬문]“국민이 실험쥐냐?” 영국·일본 경제의 몰락은 지도자 때문?!
최근 영국 트러스 총리의 사임이 화제인데···. 양상추에게 졌다는 조롱도, 일본 기시다 총리도 떨고 있다는데···. 역대급 엔화가치 폭락에 무역적자로 허덕이고 있다고. 영국과 일본의 몰락
www.podbbang.com
대표적인 것이 대통령과 경제계와의 간담회죠. 통상 ‘4대 그룹’ 또는 ‘5대 그룹’ 총수가 초청 받습니다. 또 순위에 따라 회동을 가질 때 의전 순서가 정해지기도 하죠. 이하 순위의 그룹 총수가 초대받는 경우는 드뭅니다. 그래서 5위는 대통령과 직접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가 보장된 자리로 여겨지죠.
따라서 5위 자리를 롯데가 그냥 빼앗기진 않겠죠. 롯데 핵심 계열사 중 한 곳인 롯데케미칼이 국내 동박 생산 1위 업체인 일진머티리얼즈를 인수한다고 밝혔습니다. 2조7000억원에 지분 53.3%를 인수하는 거래가 이뤄졌는데요. 인수가가 너무 높다는 우려도 나왔지만 강행한 이유에는 재계 5위를 지키려는 목적도 있었던 것으로 풀이됩니다. 재계의 순위 싸움은 앞으로 더욱 치열해질 것이란 거죠. 하는 김에 코로나와 경기침체로 힘든 국민들을 위해 가격인하나 기부 등에서도 경쟁하면 좋을 텐데요.
https://smartstore.naver.com/kbjmall/products/4851516441
(선착순 트래블젤 사은품)닉왁스 다운워시 트윈키트, 천연세제, 세탁세제, 액체세제 : 경불진몰
[경불진몰] 경불진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착한 쇼핑몰
smartstore.naver.com
'하루에 지식 하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만원 넘게 피해 입었는데 보상은 겨우 4260원? (0) | 2022.10.25 |
---|---|
너 그거 아니?···못말리는 한국인의 라면 사랑…일주일에 몇봉? (0) | 2022.10.25 |
이젠 하락 아닌 추락···부동산 공포 확산중?! (0) | 2022.10.20 |
우리가 SPC 불매운동을 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0) | 2022.10.19 |
미국은 서브프라임, 영국은 LDI···그럼 우리나라는? (0) | 2022.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