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불진 이피디의 경제공부방
고통은 아름답다 본문
반응형
영국의 식물학자 알프레드 러셀 윌리스가 자신의 연구실에서, 고치에서 빠져나오려고 애쓰는 나방의 모습을 관찰하고 있었습니다.
나방은 바늘구멍만 한 구멍을 하나 뚫고 그 틈으로 나오기 위해 꼬박 한나절을 애쓰고 있었습니다.
고치에서 빠져나온다는 것은 생사가 걸린 중대한 문제였습니다. 그렇게 아주 힘든 고통의 시간을 보낸 후 번데기는 나방의 되어 나오더니 공중으로 훨훨 날갯짓하며 날아갔습니다.
이렇게 힘들게 애쓰며 나오는 나방을 지켜보던 윌리스는 이를 안쓰럽게 여긴 나머지, 나방의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칼로 고치의 옆부분을 살짝 그었습니다. 나방은 쉽게 고치에서 쑥 나올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좁은 구멍으로 나오려고 안간힘을 쓰던 나방은
영롱한 빛깔의 날개를 가지고 힘차게 날아가는 반면,
쉽게 구멍에서 나온 나방은 무늬나 빛깔이 곱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몇 차례 힘없는 날갯짓을 하고는 그만 죽고 만 것입니다.
오랜 고통과 시련의 좁은 틈새를 뚫고 나와야만 진정한 나방이 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기 때문에 고통받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앞에서 소개드린 욜로족이 그 대표적인 사례죠. 하지만 한 송이의 아름다운 꽃을 피우기 위해서는 반드시 모진 비바람을 견디어내야 합니다.
인생에서 험난한 고통과 투쟁 속에서 몸부림쳐야 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 외로움과 슬픔, 고통을 이기고 나면 우리는 더 성장한 모습이 될 것입니다. 희망을 찾기 위한 더 많은 노력이 고통 감내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728x90
반응형
LIST
'재미난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 못 알려진 과학상식 메기효과, 냄비 속 개구리, 솔개의 환골탈태 (0) | 2019.12.27 |
---|---|
진정한 사과란? (0) | 2019.12.09 |
2016년 세계인을 감동시킨 뉴스 (0) | 2019.12.04 |
크리스마스 선물 고르기 꿀팁 (0) | 2019.12.04 |
선덕여왕의 숨겨진 진실은? (0) | 2019.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