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불진 이피디의 경제공부방

너 그거 아니?···세계에서 가장 오래 왕좌를 지킨 군주는? 본문

하루에 지식 하나

너 그거 아니?···세계에서 가장 오래 왕좌를 지킨 군주는?

경불진 이피디 2022. 9. 22. 11:34
반응형

연합뉴스 제공

 

 

Q. 연휴기간 동안 깜짝 놀랄 외신이 전해졌죠. 영국 역사상 최장수 군주로 70년간 재위하며 국민통합의 상징이자 정신적 지주였던 엘리자베스 2(1926~2022) 여왕이 지난 896세로 서거했는데요. 1947년 필립공과 결혼한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조지 6세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195225세의 젊은 나이에 왕위에 올랐었습니다. 따라서 63년간 영국을 다스렸던 고조할머니 빅토리아 여왕을 제치고 역대 영국 군주 가운데 최장기간 재위를 기록했는데요. 그럼 전세계 최장 재위기간을 기록한 왕은 누구일까요?

 

https://smartstore.naver.com/kbjmall/products/4875486249

 

(베이스워시트래블젤 증정) 닉왁스베이스워시1리터 대용량, 총 1300ml : 경불진몰

[경불진몰] 경불진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착한 쇼핑몰

smartstore.naver.com

A. 1926421일 런던에서 태어난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재위기간이 무려 70. 그동안 윈스턴 처칠, 마거릿 대처, 보리스 존슨 등 모두 16명의 총리가 거쳐 갔을 정도입니다. 이 정도면 세계 최장 재위기간일 것 같은데요. 기록을 찾아보니 그건 아니더라고요.

 

지금까지 역사 기록에 남은 왕들의 재위기간을 보면 놀라울 정도로 긴 경우도 많습니다. 다만 워낙 오랜 전 기록이라 신빈성이 부족하긴 합니다. 위기간이나 사망 연령 등을 부풀렸다는 의심을 받는다는 거죠. 이런 진위여부는 무시하고 순수하게 기록에 남아있는 것을 토대로 보면 세계 최장 재위기간을 자랑하는 왕은 이집트 고왕국 제 6왕조의 페피 2세입니다. 그는 BC2284년에 태어나 BC2278년에 즉위했고 BC2184년에 사망한 것으로 기록돼 있습니다. 따라서 나이는 100, 재위기간은 무려 94년이나 됩니다. 엄청나죠.

 

https://www.podbbang.com/channels/9344/episodes/24449429?ucode=L-cYlmqQUB 

 

[꼬꼬문]우리가 알던 시대는 끝났다?···이젠 ‘뉴노멀’이 대세!

최근 금리 상승에도 변동금리 대출이 증가하는 이유는? 환율은 급등세인데 달러예금은 오히려 줄어. 물가 상승 정점을 지나 떨어질까? 근거없는 낙관론에 휩쓸리지 말고 철저히 대비해야 하는

www.podbbang.com

그럼 2위는 누굴까요? 놀랍게도 우리 조상입니다. 바로 고구려의 태조대왕. 고구려를 건국한 주몽이 아니고 주몽의 아들인 유리왕의 아들로 고구려 6대왕입니다. 고구려 초기 최고의 정복 군주로 꼽혀 태조라는 시호가 붙었죠. 태조대왕은 47년에 탄생해 165년에 돌아가셨습니다. 따라서 118년을 사셨다고 기록돼 있습니다. 53년에 왕에 올라 재위기간은 무려 93. 믿기는 힘들지만 기록에 분명히 이렇게 돼 있네요.

 

3위는 남아프리카 인근 에스와티니의 소부자2. 비교적 최근 사람인데요. 1899년에 태어나 1982년에 사망했습니다. 83세로 장수하셨는데요. 1899년에 태어난 후 6개월만에 왕위에 올라 재위기간도 82년이나 됩니다.

 

4위는 신성로마리페공령의 베른하르트 7. 1428년에 태어나 1511년에 사망해 82세를 살았는데요. 1살이 되던 1429년에 왕위에 올라 재위기간은 82년이나 됩니다.

 

5위는 또 놀랍게도 우리 조상인데요. 이름부터 꼭 있어야 할 것 같은 고구려 장수왕입니다. 394년에 태어난 장수왕은 491년까지 무려 98세를 사셨는데요. 412년에 왕위에 올라 재위기간은 79년이나 됩니다.

 

이 밖에도 신성로마 헨네베르크 슐로이징겐의 빌헬흠 4세는 78, 렉타르의 카란싱지도 78, 신성로마 로이스오버그라이츠 하인리히 11세가 77, 신성로마 팔츠줄츠바흐의 크리스티안 아우구스트가 75년이나 재위기간을 자랑한다고 합니다.

 

재위기간 25위에 우리 조상님이 있다니 반갑지 않나요? 우리민족이 예로부터 장수민족이었다는 것이 기록으로도 증명되는 군요.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