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불진 이피디의 경제공부방
창업을 하고 싶어도 종잣돈이 없다? 본문
나는 창업을 하고 싶어도 종잣돈이 없다? 영업이나 마케팅이 얼마나 어려운데, 내가 뛰어들었으면 잘 안됐을 거다? 게다가 할만한 사업은 이미 거대 기업이 장악하고 있다?
글로벌 소비재 기업 유니레버에 10억 달러(1조1160억원)를 받고 매각된 달러쉐이브클럽의 사례는 그런 생각에 브레이크를 겁니다. 2011년 파티에서 만난 마이클 두빈과 마크 레빈이 창업한 달러쉐이브클럽은 1회용 면도기·면도날을 집으로 보내주는 서비스로 큰 성공을 거뒀습니다.
창업 당시 면도기 시장은 최신 기능과 디자인을 표방한 질레트가 독점하고 있었습니다. 다국적 기업 프록터&갬블이 2005년 질레트를 570억 달러(63조2130억원)에 사들인 것만 봐도 질레트의 위상을 알 수 있습니다. 질레트는 정상급 스포츠 스타들을 TV 광고에 기용하는 등 홍보ㆍ마케팅에도 엄청난 돈을 썼습니다.
하지만 두빈과 레빈은 한 달에 몇십 달러씩 면도에 지출하는 게 너무 아까웠습니다. 특히 사러 가는 것이 귀찮았죠. 게다가 너무 비쌉니다. 그래서 회원 가입을 하고 3달러(배송비 포함) 정도만 내면 면도기 하나에 면도날 5개를 보내주는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특히 두빈은 MSNBC에서 디지털 프로듀서로 일했던 경험을 살려 창업 이듬해인 2012년 코믹한 홍보영상을 만든 뒤 유튜브에 올렸습니다. 이게 대박을 쳤습니다.
“당신은 유명한 브랜드의 면도기에 한달 20달러씩 쓰고 싶은가? 당신은 면도기에 진동핸들과 플래시, 10중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 매달 면도날 사는 걸 깜빡하는 일도 이제 안해도 된다. 우리가 그것을 당신에게 바로 배송해 줄 것이다.”
2000만 뷰 이상을 기록하고 하루 새 1만2000여 건의 주문이 몰렸습니다. 달러쉐이브클럽의 웹사이트는 다운되고 두빈이 갖고 있던 면도기 재고는 6시간 만에 동났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달러쉐이브클럽의 매출액은 2억4000만 달러(2662억원)로 치솟았습니다.
현재 달러쉐이브클럽의 회원은 300만 명을 넘는데 임직원은 190명에 불과합니다. 생각보다 규모가 적죠. 원래 면도기 사업을 하려면 공장을 짓고, 운송센터를 차리고, 영업망을 구축하고, 연구개발 조직을 만드는 게 기존의 상식입니다. 마케팅 전략과 예산도 필요합니다. 하지만 달러쉐이브클럽은 이같은 과정을 확 줄였습니다. 면도기는 한국의 도루코에서 공급받았습니다. 면도기에는 첨단 기술이 필요없다는 판단 때문이죠. 운송도 처음엔 직접 하다 켄터키의 한 운송회사에 외주를 줬습니다. 실제로 하는 일은 프로젝트 디자인과 고객 서비스 뿐 입니다. 이렇게 하니 거대 기업보다 고객의 니즈를 세세히 파악하고 발빠르게 대응할 수 있었습니다.
이쯤되면 종잣돈이 없다? 영업이나 마케팅이 얼마나 어려운데? 할만한 사업은 이미 거대 기업이 장악하고 있다? 이런 핑계를 대기 힘들겠죠.
'명언 명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조원 스타트업의 비결 (0) | 2019.11.26 |
---|---|
눈을 감고 10분만 있어 보세요 (0) | 2019.11.24 |
“당신은 진정한 친구를 단 한 사람이라도 가지고 있는가요?” (0) | 2019.11.22 |
직원을 붙잡아 두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들에게 돈을 더 주는 것 (0) | 2019.11.22 |
"오늘 아주 멋져 보여" (0) | 2019.11.22 |